본문 바로가기

검색
전체메뉴
[2017] 추진전략 및 경영목표
  • 대분류 : 일반현황
  • 소분류 : 경영목표 및 추진전략
  • 작성일 : 2018-07-02
  • 조회수 : 605

    Gyeonggido Job Foundation 경기도일자리재단 2017년 경기도일자리재단 추진전략 미션	수요자 맞춤형 고용서비스 제공으로 	고용기회 확대와 도민의 복지증진 및 지역경제 활성화 기여 비전	일자리와 사람을 연결하는 최고의 고용서비스 허브기관  	"The Best Employment Service Hub Connecting Jobs with People" 핵심가치	경기도 일자리 메카로서의 전문성 강화 		고용서비스 허브로서의 효율성 강화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  전략과제				핵심과제 맞춤형 취업지원			• 계층별/대상별 맞춤형 취업지원 					• 중소기업 맞춤형 취업 지원 강화 					• 일자리관련 네트워크 구축 및 협력 활성화 					• 맞춤형 고용복지 서비스 개발 일자리 연구역량 강화		• 일자리관련 정책연구 강화 					• 고용조사 기능 강화 					• 맞춤형 취업지원 서비스 연구강화 					• 경기도 고용지원 플랫폼 구축 및 운영 취·창업역량 향상			• 취·창업 역량 강화 지원 					• 유망직종 발굴 및 교육 활성화 					• 취업지원 기관 종사자 역량 강화 지원 고용유지 지원			• 재직자 직무능력 향상 및 평생기술 교육 강화 					• 전문성 향상 위한 교사의 직무교육 강화 					• 취업지원을 위한 상담기능 강화 					• 첨단 직업훈련 관련학과 개설 및 운영 활성화 조직 역량 제고 및 재단운영 • 신속한 통합과 조직의 안정화 도모 • 윤리경영과 건전한 노사문화 제고 • 창의적 업무분위기 조성을 통한 균형적 발전도모 • 대외소통 활성화와 홍보 강화
    Gyeonggido Job Foundation 경기도일자리재단 2017년 경기도일자리재단 경영목표 □ 2017년 비전 ■ 일자리와 사람을 연결하는 최고의 고용서비스 허브기관  - 경기도 일자리 메카로서의 전문성 강화  - 고용서비스 허브로서의 효율성 강화  -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  ■ 경영목표 경영목표				세부목표								기준치(최근3개년 실적)		평가방식	비중(%) 														2014		2015		2016* 공통 목표	소계																			20 		성과관리시스템 구축 여부								-		-		-		달성여부	10 		외부재원 유치 금액(30억)1)								-						목표달성률	10 자율 목표	소계																				80 		2. 맞춤형 취업지원	고용지원플랫폼 공정률					-		-		-		목표달성률	30 		3. 일자리 연구분석	일자리 관련 정책 연구(3건) 				-		-		-				10 		역량강화			 		4. 취업 및 창업		취업자 수							170,976	255,264	322,151	목표부여	15 		역량 향상			취·창업교육 참여자수					3,063		3,002		2,885		+난이도	10 						자격증 취득자 수						652		429		533				10 						전문 직업교육을 통한 자격증 취득 수		465		533		909		 		 		5. 고용유지 지원		재직자 지원 프로그램 수료자수			1,069		935		977				5 기타 목표	1. 기관역량 제고		기관 경영평가 실적 제고				기관 경영평가 점수					- 		2. 道 정책 이행		道 정책 이행률 제고					道 담당 별도 평가 점수					-			   1) 중앙정부 및 시군 등 외부 수탁사업비 수입 30억원(경기도 수탁사업 제외)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