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검색
전체메뉴
경기도 권역별 산업 분석 및 주요 산업전략
  • 카테고리 : 이슈포커스
  • 발행년도 : 2024
  • 작성일 : 2024-11-25
  • 조회수 : 2,890
  • 2024_10(2024.11.22.) GJF 이슈포커스 경기도 권역별 산업 분석 및 주요 산업전략 김윤중연구위원 경기도일자리재단 일자리연구센터 경기도일자리재단 변화의 중심 기회의 경기 2024_10(2024.11.22.) GJF 이슈포커스 경기도 권역별 산업 분석 및 주요 산업전략 # 경기도 산업별 사업체수 집중도 경기도 사업체 경기도 사업체 수 비중 전국의24.2%, 전국 대비 제조업 비중 높음 경기도 내 산업별 사업체 비중 도매 및 숙박업 경기도 25.7% 전국 26% 제조업 12.6% 전국 9.6% 숙박 및 음식점업 경기도 12.5% 전국 14.4%   경기도 산업비율 상대집중지수* 상위 산업 10 1.31 제조업1.13부동산업1.09 수도·하수 및 폐기물처리 원료재생업 ·1.07 1.07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 예술,스포츠및여가관련서비스업1.05 정보통신업 1.운수및창고업040.99도매및소매업 0.98 건설업 0.97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상대집중지수(NOHI·Nam-Oh-HongIndex): 특정 산업의 지역 간 특화도와 지역 내 특화도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제공하며, NOHI가 0 이상이고 값이 클수록 해당 지역 특정 산업은 상대적으로 집중됨.2024_10(2024.11.22.) GJF 이슈포커스 경기도 권역별 산업 분석 및 주요 산업전략 # 경기도 5개 권역 분류   경기도 5대 권역으로 분류하여 인력 및 훈련 수급분석 시행 (2014~) 북서부(경의권) 고양시, 김포시, 파주시, 디스플레이, 비금속, 영상, 문화콘텐츠 북동부(경원권) 구리시, 남양주시, 동두천시, 양주시, 연천군, 의정부시, 포천시 섬유, 가구, 제조-서비스 융합 중부(경부권) 과천시, 광명시, 군포시, 부천시, 시흥시, 안산시, 안양시, 의왕시 전자부품, 의료기기, 첨단산업 및 고차서비스 동부(동부권) 가평군, 광주시, 양평군, 여주시, 이천시, 하남시 물류, 관광, 반도체, 친환경 지식 서비스 남부(서해안권) 성남시, 수원시, 안성시, 오산시, 용인시, 평택시, 화성시 자동차 및 부품, 스마트 제조혁신 해당시군 주요 산업   자료: 경기연구원(2020), 「경기도 전략산업 육성방안 연구」=2024_10(2024.11.22.) GJF 이슈포커스 경기도 권역별 산업 분석 및 주요 산업전략 # 북서부권 북서부권의 사업체수 35,773(경기도 전체의 15.4%) 종사자수 197,644명(경기도 전체의 10.8%) 1사업체당 평균 5.5명 사업체수의 비중  금속가공제조업(12.2%) 전문서비스업(11.2%)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9.9%)  종사자수의 비중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13.6%) 금속가공제품 제조업(11.9%)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11.1%)  사업체당 종사자수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39명), 방송업(27명), 금융업(26명)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고무 및 플라스틱 제품 제조업, 전문서비스업 등은 사업체수 비중과 종사자수 업체수 비중 높음  북서부권 기초자체별  주요 산업 전략 김포 노후 산업단지 재생  스마트 농업, 지역 관광 콘텐츠 개발 파주 문화정보단지 중심의 전자출판 산업 고도화 탄현 중소기업 전용단지(조립금속 등) 고양 고양영상문화단지 조성 정밀의료클러스터 첨단산업 클러스터 조성 4차 산업 중심의 스마트테크노밸리 구축  킨텍스 등 MICE 산업 특화   자료: 지역고용정보네트워크, 지역일자리공시제 공시자료(2024)2024_10(2024.11.22.) GJF 이슈포커스 경기도 권역별 산업 분석 및 주요 산업전략 # 동부권  동부권의 사업체수 18,464개 (경기도 전체의 7.9%), 종사자수 120,400명(경기도 전체의 6.6%) 1사업체당 평균 6.5명 사업체수의 비중 금속가공제조업(10.8%) 사업지원서비스업 (10.1%), 전문서비스업(8.9%)  종사자수의 비중은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19.0%) 사업지원 서비스업(9.3%),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8.7%)  사업체당 종사자수는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59명), 보험 및 연금업(26명),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21명)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은 사업체수 비중(2.1)은 낮으나 종사자수의 비중이 가장 높음 경기도 동부권 기초자체별  주요 산업 전략 하남 스마트테크 밸리(바이오헬스, 메타버스, 애니메이션)  K-스타월드를 기반으로 하는 문화영상산업 활성화 광주 가구 소상공인 기반 조성 및 소상공인 지원 클린농업 등 청정농산물 산업 육성 가평 일반산업단지 3개소를 중심으로 한 청정산업단지 구축 IT와 결합된 스마트 농업 육성 양평 관광·문화 벨트 조성 친환경 디지털 단지 조성 여주 문화창조허브 구축 강천섬, 신륵사지 등 남한강변 관광 산업 활성화 이천 반도체 파크 및 연구단지, 의료기기 전문공단 등 도예, 승마 등 지역 문화관광 산업 활성화   자료: 지역고용정보네트워크, 지역일자리공시제 공시자료(2024)2024_10(2024.11.22.) GJF 이슈포커스 경기도 권역별 산업 분석 및 주요 산업전략 # 중부권 중부권의 사업체수 66,906개(경기도 전체의 28.8%), 종사자수 472,537명(경기도 전체의 25.8%) 1사업체당 평균 7.1명 사업체수의 비중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17.0%) 금속가공 제품 제조업(15.5%) 전문 서비스업(8.5%)  종사자수의 비중은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13.3%)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11.4%) 금속가공제품 제조업(10.3%)  사업체당 종사자수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42명), 자동차 트레일러 제조업(23명), 우편 및 통신업(21명)   기타 기계장비 제조업,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기타 기계장비 제조업은 사업체수 비중, 종사자수의 비중이 모두 높음 중부권 기초자체별  주요 산업 전략 부천 문화콘텐츠, 웹툰융합센터 구축 세라믹 기술산업 육성 시흥 해양레저복합단지 조성 의료 바이오 산업벨트 구축 안산 가구 소상공인 기반 조성 및 소상공인 지원 클린농업 등 청정 농산물 산업 육성 광명  미래 신산업 R&D 연구센터 및 시흥 테크노 밸리 구축 업사이클 문화산업클러스터 조성 과천 대기업 R&D 유통센터, ICT산업 육성 화훼유통복합단지 안양 ICT, 문화콘텐츠 사업 ICT 및 S/W 신산업 육성 스마트콘텐츠 기업 및 도시첨단 산업단지 조성 의왕 청계 테크노 산업단지 조성 오매기 지구, 백운·장안 도시개발 사업 군포 지식재산권, 디자인 개발 등 SW 중심 산업 육성 신산업 기업 유치공간 조성  자료: 지역고용정보네트워크, 지역일자리공시제 공시자료(2024)2024_10(2024.11.22.) GJF 이슈포커스 경기도 권역별 산업 분석 및 주요 산업전략 #남부권  사업체수 83,693개 (경기도 전체의 36.0%) 종사자수 902,580명(경기도 전체의 79.2%) 1사업체당 평균 10.8명 권역 중 가장 높은 비중  사업체수의 비중은 전문 서비스업(11.8%) 금속가공 제품 제조업(10.9%) 사업지원 서비스업(10.2%)  종사자수의 비중은 연구개발업(13.0%)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11.7%) 사업지원 서비스업(10.6%)  사업체당 종사자수는 연구개발업(55명),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48명), 자동차 트레일러 제조업(26명)  순으로 나타남   남부권 기초자체별  주요 산업 전략 수원  지식산업 수원멀티플렉스, 지식산업센터 기반 첨단산업 활성화 첨단기업 유치를 통한 특례시 완성 화성 바이오 산업 화성테크노폴 조성을 통한 미래산업 생태계 조성 제약 거점 바이오산업 클러스터 조성  평택 인공지능 산업  스마트팩토리, 빅데이터, 인공지능 분야 활성화 4차 산업 중심의 직업훈련 활성화 성남 시스템 반도체 산업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AI, 자율주행 산업 육성 바이오헬스벨트 구축 용인 반도체 산업 및 스마트 농업 메가 반도체 클러스터, 테크노 밸리 조성 첨단 스마트 농업 육성 오산 반도체 및 화장품 산업 제3 일반산업단지, 지곶 산업단지 조성 반도체, 화장품, 전기·전자 분야 특화 안성 반도채 산업 반도체 특화단지, 호수관광벨트 형성을 통한 관광산업 육성 로컬푸드 활성화를 위한 스마트 농업    자료: 지역고용정보네트워크, 지역일자리공시제 공시자료(2024)2024_10(2024.11.22.) GJF 이슈포커스 경기도 권역별 산업 분석 및 주요 산업전략 #요약  권역별 사업체수, 종사자수 비중 높은 산업 단위% 사업체수 비중 종사자수 비중 북서부 사업체수 비중 ·금속가공제조업 12.2 ·전문서비스업 11.2 종사자수 비중·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및 통신장비 제조업 13.6 금속가공제조업 11.9 중부 사업체수 비중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17 금속가공제조업 15.5 종사자수 비중 기타기계 및 장비 제조업 13.3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및 통신장비 제조업 11.4 남부 사업체수 비중  ·전문서비스업 11.8 ·금속가공제조업 10.9 종사자수 비중 연구개발업 13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및 통신장비 제조업 11.7 동부 사업체수 비중  ·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10.8 사업지원서비스업 9.3 종사자수 비중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및 통신장비 제조업 9.3 사업지원서비스업 9.3 북동부 사업체수 비중 ·섬유제품제조업 15.1 ·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10.8 종사자수 비중  ·섬유제품제조업 15.7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10    · 권역별로 사업체수와 종사자수의 비중은 남부권이높은 비중을 차지 · 사업체수 비중과 종사자수의 비중은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없음 북서부권과 동부권 등에서 금속가공제품 제조업의 사업체수 비중이 가장 높았으나 종사자수 비중은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이 높음 · 전체적으로 전자, 기계, 금속을 중심으로 한 제조업의 비중이 대부분 높으나, 사업지원 서비스업과 연구개발업 등의 비중도 유의적으로 높음 자료: 경기도(2021), 「경기도사업체조사」 자료 요약

     

    [요약]

    - 경기도는 전국 사업체 수의 24.2%를 차지하며 제조업, 부동산업, 도매 및 소매업 등의 산업 집중도가 높습니다.

    - 경기도는 북동부, 북서부, 동부, 중부, 남부의 5개 권역으로 나뉘며 권역별로 산업 특화와 전략이 상이합니다.

    - 북동부권은 섬유제품, 금속가공제품, 가구 제조업의 사업체 및 종사자 비중이 높으나 산업단지 중심으로 인프라에 치우쳐 전략이 미흡합니다.

    - 북서부권은 금속가공, 기계장비, 고무·플라스틱 제조업, 전문서비스업의 사업체 및 종사자 비중이 높습니다.

    - 동부권은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의 종사자 비중이 가장 높습니다.

    - 중부권은 기계장비, 금속가공, 전자부품 등 제조업 중심의 사업체 및 종사자 비중이 높습니다.

    - 남부권은 반도체, 바이오, 인공지능 중심의 첨단산업이 주축이며, 스마트팩토리와 지식산업 중심 전략이 강조됩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