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검색
중장년 일자리, 혁신적 접근이 필요하다
  • 카테고리 : 이슈리포트
  • 발행년도 : 2024
  • 작성일 : 2024-12-13
  • 조회수 : 1,551
  • ※ 본문의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 본 보고서에 포함된 의견 및 견해는 경기도일자리재단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GJF 고용이슈리포트 2024-08 발행일 2024년 12월 13일 발행처 일자리연구센터 정건화 한신대 명예교수, 경제학 중장년 일자리, 혁신적 접근이 필요하다 들어가며 이 글은 고령세대(베이비부머)의 일자리 문제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제안한다. 중장년세대가 기존 직장이나 재취업을  통해 제조업 중심의 노동시장에서 계속 일할 수 있도록 하려면 유연안정성(flex-security)을 높이기 위한 제도와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기업들이 중장년 고용을 늘이는 방향으로의 유인체계변화, 구직에 나선 중장년을 위한 인적자원  개발과 맞춤형 취업훈련, 그리고 기업문화나 관행, 작업 및 근무환경 개선 등 기존 노동시장에서의 제도 보완이 그것이다.  1  2024년 12월  13일 일자리연구센터 정건화  한신대 명예교수, 경제학 그렇지만 우리가 직면한 현실과 곧 당면하게 될 미래는 이러한 수준의 대응을 넘어서는 ‘보다 혁신적 대응’을 필요로  한다는 생각이다. 혁신이란 발상의 전환을 통해 기존 접근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돌파구를 모색하는 실험적 시도를  포함한다. 이 글에서는 정규직 노동시장에서의 고령세대를 위한 제도 보완의 필요성에 더해, 사회적경제(social  economy)에 주목하여 고령세대가 유급활동과 무급활동을 포괄하며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을 아우르는 새로운 일자리  창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