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검색
단축근무제, 경기도 근로자의 생각은?
  • 카테고리 : 이슈포커스
  • 발행년도 : 2025
  • 작성일 : 2025-04-01
  • 조회수 : 2,709
  • GJF 이슈포커스 2025-02(2025. 3.31) 단축근무제, 경기도 근로자의 생각은? -근로시간 단축제도 설문조사 결과 백준봉 연구위원경기도 중소기업 근로자의 인지도 및 이용 현황 근로시간 단축제도 인지도 근로시간 단축제도란,  육아 · 건강 · 가족돌봄 · 은퇴 준비 등의  사유로 근로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제도 응답자 절반 이상(50.1%)이 제도에 대해 잘 알고 있음 필요할 때 자유롭게 쓸 수 있다는  응답은 35%에 불과 제도 자체가 없거나 있어도  이용이 어렵다는 근로자 38.5%,  제도 도입과 활성화 필요  자료: 2024년 경기도일자리재단이 실시한 “경기도 근로자의 근로시간 단축현황 및 정책수요 조사” 결과 - 조사대상: 경기도 소재 300인 미만 중소기업 재직자 540명 - 조사기간: 2024년 10월26일 ~ 11월 11일근로시간 단축제도 신청사유 및 1일 단축시간 근로시간 단축제도 신청사유 육아 36.2%, 임신 27.6% 가족돌봄 13.8% 본인건강 10.3%, 학업 등 자기개발 8.6%, 기타 3.4 성병 단축제도 주된 신청사유 여성 육아 48.6%, 임신 35.1%, 남성 가족 돌봄 28.6%, 본인 건강 23.8% 1일 주된 단축근무 시간 하루 단축근무 시간,  2시간 이하가 60% 이상 차지  근로시간 단축제도 미활용 사유 근로시간 단축제도가 있어도 쓰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업무 특성상 시간 조절이 어렵기 때문(33%)‘이며, 현행 단축제도의 사용 사유(육아 · 건강 · 가족돌봄 · 은퇴 준비)에 해당하지 않아  사용 못했다는 응답이 27.1%로 2위 차지경기도형 단축근무제(0.5&0.75 Job)에 대한 인식 ※ 0.5 & 0.75 Job 이란 생애주기별 사유에 따라 주 40시간의 근로형태를   주 20~38시간으로 다변화하여 일과 가정이 양립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제도 0.5&0.75 job 도입 의견  0.5 & 0.75 Job 도입에 대해서  긍정적 의견(63.3%)이부정적 의견(6.1%)보다 10배 이상 높음 단축근무 선호 유형 응답자들은  0.5 & 0.75 Job이 혼합된 주 32~38시간의 단축 근무제를 가장 선호 근로시간 단축제도 사용의 주요 애로사항 임금감소가 단축근무의 가장 큰 걸림돌!  업무 부담 증가와 제도 운영상의 어려움도 함께 지적됨 근로시간 단축제도 활성화를 위해 임금감소에 대한 정책적 보전 필요 근로시간 단축제도 정착을 위한 필수 사항 단축근무제 정착을 위해 가장 필요한 건 경영자의 의지! 사업주의 인식과 태도가 제도 활성화의 핵심 요인으로 꼽힘근로시간 단축제도 정착을 위한 기업 지원 정책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 ‘단축근로자의 임금감소 보전 지원’이 꼽힘 제도시행 기업 지원과 동료 보상 확대에 대한 필요성도 제기됨단축근무제 활성화로 예상되는 사회 변화 단축근무제가 활성화되면 근로자의 삶의 질이 향상되고,� 출산·육아 환경이 개선되어 저출생 문제 해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됨근로시간 단축데고의 혁신: 0.5&0.75 Job 0.5 & 0.75 Job은 다양한 지원을 통해 기존 근로시간 단축제도의 한계를 보완함 0.5 & 0.75 Job은 일·가정 양립과 새로운 근무방식 정착을 이끄는 노동시장의 새로운 기준(New Normal)이 될 것임

     

    [요약]

    - 근로시간 단축제도에 대한 인지도는 50.1%로 절반 이상이 제도를 알고 있으나, 필요 시 자유롭게 쓸 수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35%에 불과했습니다.

    - 근로시간 단축제도 신청 사유는 주로 육아, 임신, 가족돌봄이며, 하루 단축 시간은 2시간 이하가 60% 이상으로 나타났습니다.

    - 근로시간 단축제도 미활용 사유로는 업무 특성상 시간 조절이 어렵다는 점이 가장 크게 지적되었습니다.

    - 경기도형 단축근무제(0.5 & 0.75 Job)에 대해 응답자들은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주 32~38시간의 혼합형 근무 형태를 선호했습니다.

    - 제도 활성화의 가장 큰 걸림돌은 사업주의 인식과 태도라는 응답이 많았습니다.

    - 정책적 지원으로는 단축근로자 임금감소 보전 지원, 업무대행자에 대한 보상, 제도시행 기업에 대한 보조금 지급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습니다.

    - 단축근무제가 활성화되면 근로자의 삶의 질이 향상되고, 출산·육아 환경이 개선되어 저출생 문제 해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