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검색
최근 경기도의 제조업 일자리 감소와 대 중국 수입 증가
  • 카테고리 : 이슈리포트
  • 발행년도 : 2025
  • 작성일 : 2025-07-31
  • 조회수 : 202
  • ※ 본문의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 본 보고서에 포함된 의견 및 견해는 경기도일자리재단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GJF 고용이슈리포트 2025-05 발행일 2025년 7월 31일 발행처 일자리연구센터 최경수 일자리연구센터 수석연구위원 최근 경기도의 제조업 일자리 감소와 대 중국 수입 증가 요약 제조업 취업자수는 작년 2/4분기 이후 4분기 연속 감소하고 있으며 서울, 경기 등 수도권에서 감소  경기도의 고용 감소는 첫째, 3년째 지속되는 중기적 현상이며, 둘째, 금속가공, 기타 기계 및 장비, 플라스틱  등 중저위기술 혹은 저위기술 제조업 분야이며, 셋째, 부천, 시흥, 안산 등 공업단지 지역에 집중되어 있고,  넷째, 2020년대 이후 해당 산업에서는 대 중국 수입이 급증하였다는 특징이 있음 - 고용감소 산업은 금속가공, 고무・플라스틱, 기타 기계 및 장비, 기타 제품 제조업 등으로 OECD의 기술집약도별  제조업 분류에 의하면 중저위기술 혹은 저위기술 산업에 해당함 - 제조업 고용 감소는 서울과 경기도 지역, 경기도에서는 부천, 시흥, 안산 등 공업단지 지역에 집중 ⚫ 부천, 시흥, 안산은 고용이 감소하는 금속가공, 플라스틱, 기타 기계 및 장비, 기타 제품 제조업 비중이 높은  지역 - 수출입 구조에서는 금속가공, 기타 제품 제조업, 기타 기계 및 장비 분야에서 대 중국 수입이 2020년대 들어 급속히 증가 금속가공, 고무 및 플라스틱, 기타 기계・장비, 기타 제품 제조업 등 산업에서 대 중국 의 수입이 증가하면서  제조업 고용이 감소하고 있지만, 이 산업들은 기술집약도가 높지 않은 중저위기술 또는 저위기술 제조업 으로서, 비교우위를 장기간 지속하기는 어려웠을 산업 - 지금까지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 과정에서 발생한 중간재 수요는 경기도 제조업 성장에 유리한 여건을 조성 하였으며 대 중국의 수입 증가는 해당 산업 고용감소를 앞당긴 요인은 될 수 있지만 근본적인 요인으로 보기는  어려움 - 즉, 고용 감소 업종들은 어차피 우리나라의 비교우위가 장기간 지속되기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업종들임 - 정책적 지원을 통하여 이 산업들의 효율 개선을 모색할 것인지 혹은 다른 대안을 모색할 것인지는 산업 현황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판단이 필요한 사안임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