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검색
전체메뉴
AI도입, 일자리 감소인가? 새로운 기회인가?
  • 카테고리 : 이슈포커스
  • 발행년도 : 2024
  • 작성일 : 2024-11-06
  • 조회수 : 1,594
  • SSN 3058-3721 2024_09(2024.10.31.) GJF 이슈포커스  AI도입, 일자리 감소인가? 새로운 기회인가? 이혜민 연구위원 경기도일자리재단 일자리연구센터 경기도일자리재단 변화의 중심 기회의 경기2024_09(2024.10.31.) AI도입, 일자리 감소인가? 새로운 기회인가? # AI 도입과 고용의 미래 AI 도입은  생산성 향상으로 인한 대체효과로 고용을 줄이기도 하지만, 수요 증가에 따른 소득효과로고용을 늘릴 수도 있음.   고용 규모는 더 강한 효과에 의해 결정! 대체효과 vs 소득효과2024_09(2024.10.31.) AI도입, 일자리 감소인가? 새로운 기회인가? # AI도입의 장단기 고용효과 Ⅰ 단기적으로 일자리와 임금에 하락 압력을줄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생산성 효과, 자본 축적 효과, AI 심화, 새로운 노동집약적 업무창출을통해 이러한 하방압력을 상쇄할 수 있음1) 생산성 효과: AI 도입으로 비용 절감 → 소비자 수요 ↑→AI가 대체하지 않는 업무에서 노동 수요 ↑ 자본 축적 효과: AI 도입으로 더 많은 자본 필요 → 자본 축적 → 인간 노동과 협력하는 업무에서 노동 수요 ↑ AI 심화: 기술 발전으로 기존 AI 시스템의 생산성 향상 → 추가 노동 수요 창출 새로운 노동집약적 업무 창출: 새로운 고생산성, 노동집약적 업무 창출 → 노동자의 역할 재강조→ 일자리와 임금 ↑2024_09(2024.10.31.) AI도입, 일자리 감소인가? 새로운 기회인가? # AI도입의 장단기 고용효과 Ⅱ AI는 대체와 보완 효과를 동시에 일으키며,업무의 재조직화(고숙련인력의 보완 역할)를 초래2) AI가 전반적인 일자리 감소보다는직업 간 일자리 이동을 촉진 할 것이며, 특히 영업및 마케팅에서일자리 창출, 제조업 및 일부사무직 일자리 감소 예상3),4) 기술 임원 대상조사에서는3분의 2가 AI가 고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믿었으며, 일반 대중은 소수만이 동의했지만 장기적으로는 고용 증가 가능성에 동의5) 자료:  2) J. Grennan& R. Michaely(2020).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igh-Skilled Work: Evidence from Analysts 3) J. Bessen(2018). AI AND JOBS: THE ROLE OF DEMAND 4) Mckinsey(2019). Global AI Survey: AI proves its worth, but few scale impact 5) Edelman(2019). 2019 Edelman AI survey2024_09(2024.10.31.) AI도입, 일자리 감소인가? 새로운 기회인가? # 경제발전 단계별 AI 노출도   · 전 세계적으로약 40% 근로자의 직업군이 AI에 높은 노출도를가짐 · 선진국의 경우, 전체 고용의 27%가 AI와 상호보완성이 높은 고노출직업에,     33%는 상호보완성이 낮은(대체관계가 높은)고노출직업에 종사함 AI 노출도 및 상호보완성에 따른 고용 비율 (Employment shares by AI exposure and complementary )6) 높은 노출, 높은 상호보완성 전세계 18% 선진국 27% 신흥시장국 16% 저소득국가 8%  높은 노출, 낮은 상호보완성 전세계 20% 선진국 33% 신흥시장국 24% 저소득국가 18%  한국은 선진국 중에서도 AI 노출도가 높은 국가로,  AI의 발전이 가져올 위기와 기회가 공존하는 상황 자료 6) IMF(2024), Gen-AI: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Future of Work2024_09(2024.10.31.) AI도입, 일자리 감소인가? 새로운 기회인가? # AI에 가장 많이 노출된 직업7)8) 구분 Ai에 가장 많이 노출된 직업 Webb(2022) -임상 실험실 기술자, 검안사, 화학 엔지니어 등 고도로 숙련된 직종 -저숙련직종의 아주 일부에 해당하는 검사와 품질관리에 관련된 생산직 Felten, Raj and Seamans(2019) 화학/토목/원자력 엔지니어, 역학자, 보험계리사, 통계학자, 신용 분석가, 회계사, 컴퓨터 프로그래머, 운영 연구 분석가 등 사무직 Brynjolfsson, Mitchell and Rock(2018) 컨시어지, 기계 제도사, 신용 승인자, 중개 사무원, 장의사, 장례지도사 한지우, 오삼일(2023) 화학공학 기술자, 발전장치 조작원, 철도 및 전동차 기관사, 상하수도 처리 장치 조작원, 재활용 처리 장치 조작원, 금속재료공학 기술자 자료:  7) OECD(2021). The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on the labor market: What do we know so far?  8) 한지우, 오삼일(2023). AI와 노동시장 변화2024_09(2024.10.31.) AI도입, 일자리 감소인가? 새로운 기회인가? # AI에 가장 적게 노출된 직업7)8) 구분 Ai에 가장 많이 노출된 직업 Webb(2022) - 새로운 상황에 대한 추론이 필요한 고숙련직업(예: 연구원)  - 바리스타, 음식 준비 작업자 또는 마사지 치료사와 같은 수작업을 포함하여 대인 관계 기술이 필요한 직업(예: 교사 및 관리자) Felten, Raj and Seamans(2019) 가정부 및 청소부, 카페테리아 직원, 식기 세척원, 호텔포터, 도축업자 및 육류 포장업자, 지붕공및 페인트공, 마사지 치료사, 피트니스 강사 등 육체적 직종 Brynjolfsson, Mitchell and Rock(2018) 마사지 치료사, 동물 과학자, 고고학자, 구내 방송시스템 및 기타 아나운서, 미장공과 치장벽토공 한지우, 오삼일(2023) 음식 관련 단순 종사자, 대학교수 및 강사, 상품 대여종사자, 종교 관련 종사자, 식음료 서비스 종사자, 운송 서비스 종사자  자료:  7) OECD(2021). The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on the labor market: What do we know so far?  8) 한지우, 오삼일(2023). AI와 노동시장 변화 2024_09(2024.10.31.) AI도입, 일자리 감소인가? 새로운 기회인가? # 경제발전 단계별 AI 준비지수9) ※ AI준비지수(AI-preparedness index ): IMF가 전세계 125개국을 대상으로 AI 준비지수(AIPI)를①디지털 인프라, ②혁신과 경제 통합, ③ 인적 자본 및 노동 시장 정책, ④규제 및 윤리  4개 범주로 나누어 측정한 값(기준 값: 1.0) 경제발전 단계별 AI준비지수 AI가 일자리를 위협할 위험 저소득국가(LICs) 0.32 신흥시장국(EMs) 0.46 선진국 (AEs) 0.68 한국 0.73 1 AI의 기회를 활용할 가능성  부문별 AI준비지수(선진국 vs. 한국) 한국의 AIPI는0.73으로  부문별 지수는 선진국 평균 대비 높은 평가를 받음 범주별AI준비지수(선진국 vs. 한국) 디지털 인프라 선진국 0.16 한국 0.18 인적자본 및 노동시장 정책 선진국 0.16 한국 0.18 혁신 및 통합 선진국 0.16 한국 0.16  규제 및 윤리 선진국 0.19 한국 0.2 AIPI 선진국 0.68 한국 0.73 선진국 한국 자료 9) https://www.imf.org/external/datamapper/datasets/AIPI024_09(2024.10.31.) AI도입, 일자리 감소인가? 새로운 기회인가? # 제언 AI는 정책 대응에 따라 위험보다는 더 큰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과 고용 증대를 위해  체계적 준비와 전략적 대응이 필요함 전 세계 AI준비지 수지도(2023)10) US 0.77 CA 0.71 IS 0.7 ES 0.65 GB 0.73 FR 0.7 NO 0.75 DE 0.75 IT 0.63 SE 0.75 FI 0.76 CN 0.64 KR 0.73 JP 0.74 AU 0.73 NZ 0.75 0.8 or more 0.6~0.8 0.4~0.2 under 0.20 no data  자료 10) https://www.imf.org/external/datamapper/datasets/AIPI

     

    [요약]

    - AI 도입은 생산성 향상으로 일자리를 줄일 수 있으나, 수요 증가로 고용을 늘릴 수도 있습니다.

    - 단기적으로는 일자리와 임금에 하방 압력이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생산성·자본축적·AI심화 등의 요인으로 상쇄될 수 있습니다.

    - AI는 대체와 보완 효과를 동시에 일으키며, 업무의 재조직화와 직업 간 이동을 촉진합니다.

    - AI 노출도가 높은 직업은 회계사, 프로그래머, 통계학자 등 정형적이고 분석 중심의 고숙련 사무직입니다.

    - 노출도가 낮은 직업은 창의성과 감정노동이 필요한 연구자, 교사, 마사지사 등입니다.

    - 한국은 AI 준비지수(AIPI)가 0.73으로 선진국 평균보다 높으며, 디지털 인프라와 노동시장 정책에서 강점을 보입니다.

    - AI는 정책 대응에 따라 위험보다는 더 큰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과 고용 즈앧를 위해 체계적 준비와 전략적 대응이 필요합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